[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5) 우주발사체 전자장비 이어주는 신경망을 책임지다

입력
수정2021.09.02. 오후 7:18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와이어 하네스 개발기업 카프마이크로
경남 사천 카프마이크로 공장에서 작업자들이 누리호에 들어갈 와이어 하네스를 조립하는 작업을 널따란 테이블 위에서 진행하고 있다. 사천=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지난 6월 8일 경남 사천공항에서 차를 타고 약 10분간 남쪽으로 달려 도착한 항공우주 부품기업 카프마이크로. 공장 안을 들어서자 탁구대 다섯 개를 연이어 붙여 놓은 듯한 거대한 테이블 위에 전선 수십 가닥이 어지럽게 널려져 있었다. 전선 끝마다 전자장치와 연결하는 형형색색의 커넥터가 연결돼 있었다. 작업자들이 테이블 위에 자리를 잡고 가는 전선들을 꽈배기처럼 꼬아 굵은 묶음으로 만들고 있었다. 컴퓨터 본체나 TV 뒤 전기선을 모아 정리하는 것 같았다.

직원들은 전선을 집을 때마다 테이블 위를 바라보면서 꼼꼼히 무언가를 확인하고 있었다. 테이블 위에는 전선의 특징과 연결 부위가 적힌 복잡한 설계도면이 펼쳐져 있었다. 오상훈 카프마이크로 개발생산팀 부장은 “올 10월 발사가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속 전자장치들 간에 연결할 전선과 장치들의 범위가 모두 표시돼 있다”고 말했다.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누리호는 길이 47.2m, 무게 200t인 3단형 우주 발사체다. 무게 1.5t의 인공위성을 고도 600∼800㎞의 지구 저궤도(LEO)로 실어나른다. 누리호가 이렇게 우주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 전자 부품만 수백 가지에 이른다. 발사체의 발사와 자세 유지, 안전, 조종 등을 위해 각종 컴퓨터 장치들이 들어간다. 이들을 모두 연결해 신호와 전원을 전달하는 것은 전선과 커넥터를 모아 만든 전선 다발인 ‘와이어 하네스’다. 사람으로 치면 온몸에 연결된 신경과 같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장비다.

자료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프마이크로
누리호에 들어가는 모든 전자 부품은 총 1146개의 커넥터와 121개의 전선 묶음으로 빠짐없이 연결된다. 전선과 커넥터의 무게만 총 310kg에 이른다. 카프마이크로는 누리호 속 모든 커넥터와 전선을 각 단에 각각 들어갈 와이어 하네스로 만들어 납품하고 있다.

이날 공장에서는 누리호의 세 번째 비행모델-3(FM-3)에 들어갈 와이어 하네스 제작이 한창이었다. 작업자들은 1단에 들어가는 커넥터 498개가 이어진 전선들을 총 54개 다발로 이어진 하나의 와이어 하네스로 구성하는 작업을 조심스럽게 이어갔다. 2단 와이어 하네스는 커넥터 327개와 전선 다발 39개로 구성되고 3단은 커넥터 321개와 다발 28개로 이뤄진다.

가전 제품을 사면 마지막에 전선을 연결하는 것처럼, 와이어 하네스도 누리호 조립에서 가장 마지막에 부착된다. 핵심은 정확한 길이다. 조금이라도 길어지면 무게가 늘어날뿐더러 내부 공간을 더 차지한다. 반대로 길이가 조금이라도 짧아 전자장치들을 제대로 연결하지 못하면 누리호를 가동하는 것조차 불가능해진다. 오 부장은 “전선 다발의 길이와 두께를 맞추기 위해 전선을 묶을 때의 각도도 들어갈 위치에 맞춰 정확한 규격을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누리호의 전자장비들을 모두 연결하는 전선 다발인 '와이어 하네스'는 누리호 내 연결되는 전자장비에 정확히 맞아떨어질 수 있도록 설계도면 위에 모양을 그대로 옮기는 형태로 작업된다. 카프마이크로 제공
카프마이크로는 국제전자산업표준협회(IPC) 규격을 준수하기 위해 사내에서 교육을 강화하는 등 일찍부터 품질 관리에 주력했다. 이런 준비는 2016년 누리호의 핵심 기술인 75t액체 엔진을 검증하기 위해 발사한 시험발사체 사업부터 공식적으로 함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처음부터 발사체의 와이어 하네스 작업이 쉬웠던 것은 아니다. 오 부장은 “항공 와이어 하네스를 해본 업체였지만 발사체는 어떻게 해야할 지 몰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게 배우면서 시작했다는 게 맞다”며 “전선 자재나 규격이 국내 규격으로는 누리호에 접근할 수 없어 해외에서 부품을 찾아 왔다”고 말했다.

전선과 커넥터를 보면 누리호 1단과 3단에 들어가는 기준이 다르다. 1단은 대기권과 성층권 내에서 주로 쓰이기 때문에 항공기와 같은 규격을 활용할 수 있다. 반면 500km 이상 고도에 도달하는 3단은 외부 복사열을 견디고 진공 상태에서 소재 속 유해가스가 빠져나오거나 하지 않는 자재를 선정해야 한다. 커넥터와 전선 사이를 연결할 때도 3단은 위성 외부를 싸는 데 쓰는 케톤 테이프를 활용해야 한다.

소재 선정에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한편에선 무게를 줄이는 작업도 필요했다. 당초 누리호에는 약 700kg안팎의 와이어 하네스가 들어갈 것으로 추정했지만 더 줄여달라는 요청이 계속해 들어왔다. 회사 관계자들은 해외에서 판매되는 전선용 소재를 이잡듯 뒤져 은이 들어간 소재를 찾아내고 무게를 310kg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누리호에 들어가는 총 무게 310kg의 와이어 하네스는 작업자들의 수작업을 통해서만 제작된다. 와이어 하네스 제작에 참여한 카프마이크로 직원들이 누리호 1단 테스트 랙 뒤에 서 있는 모습이다. 카프마이크로 제공
이런 기술력을 인정받아 카프마이크로는 1단용 테스트 랙과 발사대용 와이어 하네스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었다. 테스트 랙은 전자장비를 조립 전에 시험하도록 전선을 미리 커넥터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발사대의 컴퓨터와 센서 장비를 연결하는 대형 와이어 하네스도 개발하고 있다.

카프마이크로는 발사체용 와이어 하네스 외에도 항공기용 시뮬레이션 패널, 테스트 장비를 개발하며 지난해 매출액 44억 5816만원을 기록했다. 최근 항공분야 산업의 정체기로 어려움을 겪던 중 누리호 사업은 새로운 동력이 됐다. 오 부장은 “2016년부터 항공분야 정체기가 시작되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때 누리호 사업을 맡아 우주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을뿐 아니라 매출에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와이어 하네스 산업는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만큼 절대적으로 인건비가 영향을 준다. 전자 산업이나 자동차 산업 등 와이어 하네스가 필요한 업종은 대부분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공장을 차려 운영하고 있다. 카프마이크로는 고품질화로 승부해 왔지만 와이어 하네스 분야는 전략적으로 국내에 반드시 있어야할 기술이지만 카프마이크로뿐 아니라 국내 기업들의 설 자리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오상훈 카프마이크로 부장. 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
이런 상황에서 고부가가치 산업을 만들 수 있는 우주 분야는 돌파구가 될 것이란 작은 희망이 생겼다는 게 오 부장의 설명이다. 그는 “최근 고체연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서 우주 분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데 고체연료든 액체연료 발사체든 와이어 하네스는 크게 바뀌는 건 없다”며 “우주 분야는 해 본 것과 해보지 않는 것 사이가 기술력의 차이라고 볼 수 있어 기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10월로 예정된 누리호 발사에 대해 성공을 낙관하면서도 파생사업이 보이지 않는 것은 걱정거리라고 했다. 오 부장은 “누리호가 발사에 성공하면 참여업체들이 모두 기술력은 검증돼 해외와 십수년 이상 벌어졌던 격차를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면서도 "후속 사업이 시작해도 수년 후에야 기업이 참여하게 될 텐데 관련 사업이 미리 꾸준히 연계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자료제공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